4-1/인터넷프로토콜

[1_1]인터넷과 계층구조

개발자 덕구🐾 2022. 3. 3. 09:15
728x90

인터넷 Architecture 

 

1) 내적 일관성 유지 -> 개별 네트워크의 변경이 불필요하다

 

2) 오류방생시 소스로부터 재전송 -> (stupid networdk), 모든 지능은 단말이 가진다.

 

3) 게이트웨이 or 라우터를 이용해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4) 전제적인 통제는 불필요하다.

 

 


 

 

OSI 참조 모델 - 7계층

 

 

웨어서부터 응표세전네데물  로 외우면 기억이 잘 난다.

 

여기에 인터넷을 하는 사람들이 반발을 하여 만든 것이 인터넷 프로토콜 - 5계층이다.

OSI모델에서 위에 3계층 (응용, 표현, 세션)을 하나의  계층으로 합치고 이름을 응용계층이라고 하였다.

 


 

 

계층 설명 

물리계층 (physical layer)

- bit 전송 담당

- 데이터를 물리매체 상으로 전송한다.

-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종단장비간의 물리적,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규정

- 인코딩 방식 결정 

 

 

데이터 링크 계층 (datalink layer)

- 네트워크 내부에서 A단말에서 B단말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 네트워크 내부에서 유지되는 주소체계  필요

- 흐름제어, 오류제어

 

- 헤더와 트레일러를 이용한다.

-> 헤더 - 송신지, 수신지 주소 포함

-> 트레일러 - 오류검출 코드 포함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네트워크끼리의 연결

- 지역끼리 비슷하게

- 전세계적으로 unique한 주소체계가 필요

- 데이터 전송의 가장 좋은 길을 찾는다.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end와 end 사이에 reliable data transfer을 원한다. 

 

 

 

2022_2_28일 인터넷 프로토콜 수업 

 

저번학기 네트워크 시간에 다 자세하게 배웠었는데 지금보니까 드문드문 기억이난다.

다시 제대로 공부해야겠다. 

이번에는 잊어버리지않기위해 블로그에 포스팅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