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protocol 는?
- connectionless : 연결설정없이 IP packet을 보냄
- unreliable : 안전한 통신을 지원하지않음 그저 best effort
- 네트워크의 노드를 고유하게 지정하기 위해 IP 주소 이용
IP packet 헤더
기본헤더 = 20byte
옵션 : 1개 이상 가능
데이터
4byte가 한줄이다.
버전, 헤더길이 , TOS, 전체길이
identification, 플래그, 플래그먼트 오프셋
TTL ,프로토콜 , 헤더체크섬
옵션
송신지 IP주소
수신자 IP 주소
identification : 동일한 데이터로부터 분할된 패킷을 재조립할 수 있도록 분할된 패킷들은 같은 식별자
플래그 : RDM
D : do not fragment : 이거 1이면 분할하지마라
M : more fragment : 이거 1이면 뒤에 분할된 패킷 더 있음
플래그먼트 오프셋 :
플래그와 식별자만으로 분할된 패킷을 완벽하게 복원못해서 만듦
분할된 패킷의 순서에 대한 정보
8byte 단위로 분할된 packet의 상대위치를 기술
프로토콜 : 상위 데이터가 뭔지알려줌
총길이 : 3020의 packet을 (data = 3000)
3개로 나눌 수 있음
MTU : 1220일 경우
- data : 1200이고 FO = 0
- data : 1200이고 FO = 150 (1200/8)
- data : 600이고 FO = 300 (2400/8)
IP 패킷 헤더 옵션 : 경로 추적, 네트워크 상황파악
NOOP (no operation option) : 채워넣기 위한 옵션
EOP(end of option) : 옵션필드의 끝
엄격한 소스 루트 옵션
- 전달경로를 송신측에서 미리 지정하고 네트워크 장비들은 그 경로를 따라서만 패킷전송
Noop 137 길이 포인터
포인터는 4씩 증가
- outgoing interface가 사용한 주소를 대체함
- 포인터가 가리키고있는 IP 주소를 Destination으로
IP
모든 장비들이 갖는 고유한 논리적인 네트워크 식별자
IP 주소의 구성
- 네트워크 식별자 , 호스트 식별자
- 5개의 클래스로 구분
전송방법에 따른 분류
- 유니캐스트 : 하나의 송신 하나의 수신
- 멀티캐스트 : 하나의 송신 여러개의 수 신
- 브로드 캐스팅 : 송신자가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게
직접적 브로드캐슽트 : 라우터가 : 네트워크 주소 + 1
제한적 브로드캐스트 : 네트워크 내부의 호스트가 : 모두 1
IP 주소 관리방식
- 서브네팅 : 하나의 큰 네트워크를 몇개의 네트워크로 분할하여 사용
- 슈터네팅
-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서브넷 : 관리하기가 쉬워지고 서브넷을 벗어나는 브로드 캐스트를 막는다.
'4-1 > 인터넷프로토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소켓프로그래밍_visualstudio(2)[코드] (0) | 2022.05.01 |
---|---|
[c++]소켓프로그래밍_visualstudio(1)[환경설정] (0) | 2022.05.01 |
[1주차정리]PDU,ICI,IDU,SDU,PCI,네트워크 장비(스위치, 라우터, 브리지) (0) | 2022.04.13 |
ARP와 ICMP 그리고 멀티캐스트 (0) | 2022.04.12 |
[1_2]계층간의 통신과 네트워크 장비 (0) | 2022.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