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깃허브🐱 2

깃허브_레포지토리 생성과_처음 vscode프로젝트 연결법

1. 레포지토리 생성 먼저 레포지토리를 생성해볼게요.  new 버튼을 눌러 레포지토리를 생성해줍니다!    적당히 리포지토리 이름과 설명을 적고하단에 create Repository를 눌러 만들어줍니다.    2. 로컬과 연결    3. 명령어 입력 터미널에서 해당 플젝위치에 들어가준다.  git init git commit -m "커밋 제목" git remote add orign  git push origin main       4. 커밋 완료!   https://github.com/dumi33/firstNext GitHub - dumi33/firstNext: next.js 프로젝트입니다.next.js 프로젝트입니다. Contribute to dumi33/firstNext development by c..

깃허브와 슬랙(slack)연동하는 법

팀으로 개발을 할 때 개발을 하는 부분을 구분하여 각자 코딩하고 깃허브를 통해 통합하면 병렬적으로 코딩이 가능해 효율성이 올라간다. 이를 위해선 첫째, conflict가 되면 안된다. 둘째, git pull origin main을 잘 해야한다. 둘째의 연장선으로 커밋했다는 말을 매번 해야한다. "저 커밋했으니까 pull 한번 해주세요~" 이렇게 이게 여간 귀찮은게 아니다. 이를 간단하게 하기위해 slack과 깃허브를 연동하게 상대방이 커밋을 하면 slack에 메세지를 보내주는 방법이 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github subscribe owner/reposiory를 slack에 입력하면 된다. https://github.com/dumi33/CheckMate_Project GitHub - dumi3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