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I ( 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이 뭐에요?
> 런타임에 외부에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의존관계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
이를 이용해서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는 변경하지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러면
DI 컨테이너는요?
>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 (ex. AppConfig)
반응형
'개발공부 > [spring]김영한_스프링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글톤과 스프링 컨테이너 (0) | 2022.08.04 |
---|---|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_(feat.BeanDefinition) (0) | 2022.08.04 |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원칙(SOLID) (0) | 2022.08.04 |
[2]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_ 컴포넌트 스캔, 자바코드로 직접 등록 (0) | 2022.07.20 |
[1]회원 관리 예제 - 백엔드 개발[테스트 코드 작성,서비스와 리포지토리] (0) | 2022.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