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BFS알고리즘 문제를 풀때 늘 사용하는 배열이 있다.
int dx[] = {0,1,0,-1};
int dy[] = {1,0,-1,0};
바로 이차원 배열의 탐색을 위해서 사용하는 dx와 dy배열이다.
이 배열을 이용해 상하좌우를 탐색하는데 지금까지 방향을 잘못알고있었다.
만약 이 배열이 동,남,서,북 이라는 것을 알고있다면 이 글을 읽을 필요 없다.
이런 당연한 배열을 포스팅할생각 없었지만
어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5683
이 문제를 풀다가 내가 이 배열에 대해서 잘못알고있었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잊어버리지않기위해, 이 글을 본 사람들은 나와 같은 잘못된 이해를 하지않았으면 하는 바람에서 글을 쓴다.
#include<iostream>
#include<queue>
using namespace std;
#define x first
#define y second
int mp[501][501];
int vis[501][501];
int dx[] = { 1,0,-1,0 };
int dy[] = { 0,1,0,-1 };
int main() {
int n, m;
cin >> n >> m;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cin >> mp[i][j];
}
}
queue<pair<int, int> > Q;
int cnt = 0; // 그림의 개수
int mx = 0; // 그림의 넓이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if (vis[i][j] || mp[i][j] == 0) continue;
cnt++;
Q.push({ i,j });
vis[i][j] = 1;
int area = 0;
while (!Q.empty()) {
pair<int, int> cur = Q.front();
Q.pop();
area++;
for (int dir = 0; dir < 4; dir++) {
int nx = cur.x + dx[dir];
int ny = cur.y + dy[dir];
if (nx < 0 || nx >= n || ny < 0 || ny >= m) continue;
if (vis[nx][ny] || mp[nx][ny] == 0) continue;
Q.push({ nx,ny });
vis[nx][ny] = 1;
}
}
mx = max(mx, area);
}
}
cout << cnt << "\n" << mx;
}
[참고] -> 백준에 그림 문제의 코드이다. 보통 이런 코드로 bfs를 푼다.
이런식으로 묶여서 배열이 이용된다. 나는 주로 dir이라는 변수를 만들어 이용한다.
지금까지 나는수학에서 x는 좌우, y는 상하를 의미한다고 배웠기때문에
위 배열에서 x가 0, y가 1이니까 북쪽이고, x가 1, y가 0이니까 동쪽, x가 0이고, y가 -1이니까 남쪽 이런식으로
북, 동, 남, 서쪽 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물론 어떻게 코드를 작성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내 코드에서는 이렇게 생각하는것은 틀렸다.
보통 나는 세로를 x로 놓고, 가로를 y로 놓는다. [위의 코드 참조]
즉 이차원에서 좌표를 위 그림처럼 생각하고
x, y 를 이처럼 생각해주어야한다.
그러므로
이 두 배열은 차례로 동, 남, 서, 북 을 탐색한다.
반응형
'알고리즘 > 짧은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진수에서 이진수로 바꾸는 python코드 [이진수출력] (0) | 2022.04.20 |
---|---|
[c++]이차원배열_초기화방법(memset) (0) | 2021.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