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한 것!
인프런 - 김태원 파이썬 알고리즘 강의
<섹션2 - 자릿수의 합, 소수(에라토스테네스 체) >
인프런 - 널널한 개발자님의 면접 전에 알고 가면 좋을 것들 - 신입 JAVA 백엔드 개발자편
<웹서비스 구조 - 확장 두 번째의 절반 수강 >
1. 자릿수의 합 :
def digit_sum(x) :
sum = 0
for i in x :
sum += int(i)
return sum
if __name__=="__main__" :
n = int(input())
arr = list(map(int,input().split()))
ans,max_value = 0 ,0
for i in range(n) :
tmp=digit_sum(str(arr[i]))
if tmp > max_value :
max_value = tmp
ans = arr[i]
print(ans)
string으로 바꿔서 푼다는 생각이 들었다면 쉬운 문제!!!
그런데 나는 못했다... ㅎㅎ
string으로 바꾸는 아이디어를 얻고 풀었더니 빠르게 풀수있었다.
2. 소수(에라토스테네스 체) :
소수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if __name__=="__main__" :
n = int(input())
ans = 0
for i in range(1,n+1) :
cnt = 0
for j in range(1,i+1) :
if i%j ==0: cnt +=1
if cnt ==2 : ans +=1
print(ans)
문제를 보고 이렇게 처음에 만들었다.
하지만 N은 최대 200,000이고 제한시간은 1초이기에 실패했다.
if __name__=="__main__" :
n = int(input())
ch = [0]*(n+1)
cnt = 0
for i in range(2,n+1) :
if ch[i]==0 :
cnt +=1
for j in range(i,n+1,i) :
ch[j] = 1
print(cnt)
이 코드는 내가 풀이 설명듣고 정답 코드는 보지않고 풀어보았다.
결과는 맞았는데
소름돋았다..
내가 푼 코드랑 변수 이름 하나 틀리지않고 동일하게 선생님이 푸셨다.
내 기억 저편에 아직 이 문제를 풀었던 기억이 남아있나보다
3. 웹서비스 구조 - 확장 두 번째의 절반을 들었다.
1) Java script는 Mocha script -> Live script -> Java script의 발전 과정이 있었다는 것
2) 기존 HTTP 1.0의 단방향성를 양방향 상호작용으로 변경한것
그래서 기억의 필요성이 생겼고 백에서는 DB를 도입,
Client에서는 Cookie를 기억하였다.
3) Server에서 전달된것을 보여주는 순서는
1> 구문분석 (HTML + CSS + IMG)
2> 렌더링
3> JS 엔진
날라갈 때 HTML -> CSS -> Imag -> JS 순서로 간다.
꾸준히 공부하자 꾸준히!!!!
'취업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1109_점수계산_[Python알고리즘] (2) | 2023.11.10 |
---|---|
20231108_주사위게임_[Python알고리즘] (1) | 2023.11.08 |
20231107_뒤집은소수_소수판별법[Python알고리즘] (1) | 2023.11.07 |
20231101_TIL(알고리즘-대표값,정다면체_웹서비스구조 첫번째) (2) | 2023.11.01 |
20231031_파이썬 알고리즘_k번째큰수 (0) |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