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는 모든 것(bool, 정수, 실수 ,문자열, 함수 등)이 객체로 구현되어있다.
a = 7 일 때
정수 7이 담긴 객체 박스 하나를 생성한다
a라는 이름의 변수에 정수값 7이 담긴 박스를 할당하는 것이다.
변수는 단지 데이터가 담긴 객체에 붙인 이름이다. 이름을 마치 포스트잇처럼 생각하라
2-2 숫자
/ -> 부동소수점 나누기
// -> 정수 나누기 (소수점 이하 버림)
** -> 지수
파이썬은 문제없이 아주 큰 정수를 처리할수있다.
부동소수점수 -> < 파이썬에서는 float >
2-3 문자열
다른 언어와 달리 파이썬은 문자열이 불변이다!
-> replace() 와 슬라이스와 같은 문자열 함수를 이용
print()는 문자열에서 인용부호(')를 제거한 뒤 내용을 출력한다.
print()는 문자열이 아닌 객체를 호출할때는 내부적으로 str()을 이용한다.
print()는 각 인자 사이에 공백을 붙인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줄바꿈 문자를 붙인다.
이스케이프 시퀀스
'\n' -> 한 줄의 문자열을 여러 줄의 문자열로 만들 수 있다.
'\t' -> 공백에 이용
\를 이용해 ('), (")를 표현할 수 있다.
슬라이스 : 한 문자열에서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한다.
[start : end : step] : step 만큼 문자를 건너띄면서, start 오프셋부터 end -1 오프셋까지 시퀀스 추출
<마지막 오프셋은 포함되지않음을 주의>
당연하게도 오프셋은 0부터 시작
[::-1] -> 거꾸로 출력
첫 번째 문자열 이전의 슬라이스 오프셋은 0으로 간주, 마지막의 다음 오프셋은 -1으로 간주한다.
split() : 구분자를 기준으로 하나의 문자열을 작은 문자열들의 리스트로 나누기 위한 문자열 내장함수
[문자열을 구분자로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
birth_day = '10/14/2001'
print(birth_day.split('/'))
join() : [split()과 반대] 문자열 리스트를 하나의 문자열로 결합한다.
cryto = ['yeti', 'Bigfoot', 'Loch Ness Monster']
cryto = ':'.join(cryto)
print(cryto)
이처럼 join함수 앞에 있는 구분자로 구분되어
리스트가 하나의 문자열로 join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replace('바꿀 문자열', '대체할 문자열', '횟수') : 바꿀 문자열을 찾아 대체할 문자열로 횟수만큼 대체한다.
[횟수가 없다면 1번만 발생한다.]
setup = 'a duck goes into a bar'
print(setup.replace('a ','a famous ',2))
'a '가 'a famous'로 대체 되었다.
2-3 연습문제
'프로그래밍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처음시작하는 파이썬_[3-3튜플,셋,딕셔너리:3-8] (0) | 2022.01.10 |
---|---|
(2)처음시작하는파이썬_[3-1:3-2] (0) | 2022.01.10 |
[완독](11)점프투파이썬_6장 파이썬 프로그래밍,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0) | 2022.01.09 |
(10)점프투파이썬_[5-6외장함수] (0) | 2022.01.09 |
(9)점프투파이썬_[5-5내장함수]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