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91

iOS앱개발_내폰배포_viewController생성방법

요즘에는 챗GPT한테 물어보면된다. 취준시절 하나 찾으려면 구글링을 몇시간이고 했었는데요즘 얘들은 모르겠지.. 나도 라떼가 되어가나보다 ...  암튼 .ᐟ 챗지피티를 선생님 삼아 앱 아이콘도 변경했고 버튼을 누르면 다른 화면으로 넘어가는 것도 할수있었다.   확인해보자    두둥....ᐟ 덕구이미지로 이름은 두루미로 만들었다. 어케했냐고 ?   info.plist -> key, value를 입력하면 앱 이름이 변한다. Bundle display name 두루미   그리고 이미지는요 Assests.xcassets에 AppIcon에 1024*1024 로 넣어주면됩니다 .ᐟ   근데 1024*1024 사이즈로 어케 바꾸냐구요 ?걱정마세요 GPT가 다 해줍니다 ㅎ   화면 2개가 보이죠? 이렇게 화면 하나하나..

iOS개발_시작이유

회사에서 iOS개발 교육을 시켜줬다... UIKit - swift  원래 앱을 직접 만들어보고 싶어서 iOS 를 공부해보려다가도 xcode라는 무서워보이는 툴에 막혀 안하고 있었다(변명..)  근데 회사에서 .ᐟ 공짜로 .ᐟ 120만원짜리 교육을 시켜준다는데 들어야죠.. 땡큐.. 아리가또...   근데 어렵고 툴도 처음이고 swift 문법도 난해해서 잘 못따라갔다.. 그래도 5일동안을 계속 xcode만 만지고있으니까 반복학습에 의해서 xcode가 아주 약간 익숙해졌다.   약간 익숙해진 xcode를 바탕으로 집에서 다시 맥북을 열어보았다. 이대로 이 기억을 잊어버리면 아까울것같았다.   그래서 앱을 만들어봤다. 내 휴대폰에 연결해서 할수도 있고 시뮬레이터에서 할수도있다. (무료 계정은 휴대폰 빌드가 7일..

주식공부_13일차_PBR_마지막정리

PBR 1미만인 기업을 볼 때우리는 3가지 경우를 체크해야한다. 1. 시장에서 관심을 못받는 소외된 기업인가 ?2. ROE가 형편없어 가치가 올라가지 못하는 기업인가 ? 3. ROE가 곧 '턴어라운드'할 정말 저평가 기업인데 시장이 이를 몰라주고있나 ?-> 3번의 경우가 아니면 PBR1 미만의 주식을 살 이유가 없다.  매수할 때는 무조건 "적정PBR"을 판단해야합니다. 현재 PBR이 낮다고 매수하면 안된다. 내가 부여한 PBR이 시장이 부여한 PBR보다 낮다면 굳이 매수할 필요 X  운은... 준비된 사람 그리고 버틴 사람만이 만날 수 있다.  ------------------------------------------------------------------------------- 주식 시장에서는 ..

자기계발 2025.03.31

주식공부_적정PBR을 계산해보자_메리츠금융지주

숙제 : 적정PBR 계산해보기  공식을 사용해 기업 하나의 적정가 구해보기 미래 ROE에 대한 힌트는 기사나 리포트 등에 숫자로 나와있음, 그리고 년도로 나와있음 적정PBR을 계산해보고 , 현 주가로 그 기업을 매수할지, 매수하지 않을지까지도 생각해보기   PBR = (1+ROE) ^ (지속년도)  메리츠금융지주를 보겠습니다.뉴스  - 메리츠증권 - 회사채 3000억 발행 메리츠 금융, 5500억 자사주매입 후 소각  ROE  = 22년 12월 / 23년 12월 / 24년 9월 /32.12 / 28.11/ 26.5` => 25 이상의 준수한 ROE를 보여줌  한화와 같이 유상증자로 주주의 가치를 희석시키는 것이아니라 회사채를 발행하여 투자금을 만들었다. 또한 5500억의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당 가치를 ..

자기계발 2025.03.26

주식공부_12일차_좋은 기업을 찾아 투자하자

시장이 침체일 때 잘 버텨주고 있는 종목을 보기 힘이 굉장히 강하다는 것 !   시장이 공포, 위기일 때 큰 부자들이 탄생한다.  하락장 속에서도 내 견해를 고수할수있는가? 종목에 대한 자신의 정확한 판단과 확신이 있어야한다. 시계열을 길게 두고 6개월~1년의 기간을 기다려볼 줄 알아야한다.    종목의 적정 PBR을 구하여, 종목의 PBR이 나의 적정 PBR에 못미친다면 매수를 고려해보는 것이 주식을 매수하는 첫번째 과정이다.   -------------------------------------------------------------------------------------------- 좋은 기업을 찾는 법 ! - 투자전 체크리스트  1. 비즈니스 모델 어떤 방식으로 돈을 버는 지 확인해야함 -..

자기계발 2025.03.26

주식공부_11일차_적정PBR을 구하는 공식

ROE 10%는 기업의 평균이 되어야한다. 평균보다 못한 기업에는 프리미엄을 붙여줄 필요가 없다.   ROE가 10% 아래의 기업은 적정 PBR 자체를 계산하지 않습니다. ROE가 평균도 못하는 기업에 턴어라운드 할 기미도 보이지 않는데 무작정 "감"으로 투자하면 안됩니다.  아무 확신없이 "오를 것 같다"는 감 만으로는 절대 주식을 매수하시면 안됩니다.    ROE 10이하의 기업에 프리미엄을 주려면, "분명한 이유"가 있어야한다.- 차트, 공시, 시장의 관심등 명확한 트리거가 필요하다.  => ROE가 15%이상 => ROE가 -에서 +로 턴어라운드=> 시장 컨센(예상치) 대비 대폭 상승할것같은 기업을 찾아 공부   -----------------------------------------------..

자기계발 2025.03.24

주식공부_10일차_50%수익률의 계좌를 얼마에 살까?

100 =  공부의 양 차트 : 30, 기업 : 30, 흐름,심리 : 40  제목 : 계좌를 매수합니다.  1. 2025년 1월 1일에 2028년 1월 1일을 내다보고 주식계좌 세팅 자본 1억으로 매년 50% 수익률을 낼수있는 세팅  2026년 초 : 1억 * 1.5 = 1.5억2027년 초 : 1.5억 * 1.5 = 2.25억 2028년 초 : 2.25억 * 1.5  = 3.375억  이 계좌를 오늘 구매한다면 어느정도로 구매할건가요? 이유는 ? (최소 1억)  ->  2.3억 / 3년의 안정적이 수익이 1억이라면 제 주식 실력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을수있을것같기 때문입니다.   2.2026년 순이익, ROE, 자본2027년 순이익, ROE, 자본2028년 순이익, ROE, 자본을 찾아서 보내기  5천..

자기계발 2025.03.20

주식공부_9일차_PBR과 2차적사고

조급한 사람은 절대 투자시장에서 성공할 수 없다. 항상 "지금 시장의 위치는 어디쯤에 있을까?"에 대한 생각을 해야한다.- 대중들이 환호하는 구간? 대중들이 힘들어하는 구간?+ 수급은 어느 섹터로 쏠리고 있는가? + 내가 관심있게 보고 있는 기업이 "ROE"도 좋고, 시장의 관심도 충분히 받고 있나?  투자에 대한 생각 - 하워드 막스 제일 좋아하는 주식 서적 중 하나라고 함 2차적 사고 - 남들과 "다른" 생각을 할줄알아야한다! 주식시장은 희한하게도 대중들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가 참 많다.시장에 부정적인 뉴스가 나올 때 매수하면 오히려 수익이 나고,모두가 하하호호 하는 호황인 뉴스가 나올 때 매수하면 오히려 손실이 난다. "공포에 매수하라"기업을 볼 때 습관적으로 들여다보세요.이 기업 ROE, PBR..

자기계발 2025.03.19

주식공부_8일차_PBR은 뭘까?

기업의 ROE가 나의 수익률은 아니다.  "수익률의 함정"에 빠지면 안된다. 포트폴리오를 봤을 때 중요한것은 "비중"입니다. 비중을 싣는다는 것은 그만큼 집중한 종목이라는 것이고, 확신이 있다는 것이다. ROE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넘어가는 턴어라운드 구간을 찾는것시장은 ROE가 꺽일것같은 순간 그 종목을 버려버린다.  ROE는 "적어도 손해는 크게 나지 않을" 지표이다. ROE를 볼 때 무엇과 같이 봐야할까?그것은 바로 "PBR"  -------------------------------------------------------------------------------------------------------------  PBR은 자본 대비 시가총액입니다. = 시가총액  / 자본총계 주가 * 발..

자기계발 2025.03.16

주식공부_7일차_ROE_15%인_사람이되자

"내가 인생을 잘 살아가고 있구나" 하는 지표는 주변인들의 질투와 비판이다.  ex) 돈 그렇게 밝혀서 좋을거 없다. 돈에 미친 사람같다..  비판과 질투 그리고 걱정 섞인 조언들은 모두 "훈장"입니다.가려서 듣되 너무 마음속에 두고 살지는 마세요   투자 금액이 10억이 넘어가지 않는 사람은 연간 최소 15%의 수익률을 가져가야한다. S&P가 연평균 10%라고 생각  10%는 해야 이 시장에서 반이라도 가는거다. 기업의 ROE가 10%라면 평균도 못하는 기업이고내 자산의 성장률도 연10%가 안나면 S&P 500에 투자하는것이 낫다. 기업이 10% 언저리의 ROE를 매년 내고있다면..."아 이 기업은 계속 제자리걸음 하네?"라고 생각합니다.

자기계발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