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

주식공부_11일차_적정PBR을 구하는 공식

개발자 덕구🐾 2025. 3. 24. 21:40
728x90

 

ROE 10%는 기업의 평균이 되어야한다. 

평균보다 못한 기업에는 프리미엄을 붙여줄 필요가 없다. 

 

 

ROE가 10% 아래의 기업은 적정 PBR 자체를 계산하지 않습니다.

 

ROE가 평균도 못하는 기업에 

턴어라운드 할 기미도 보이지 않는데 무작정 "감"으로 투자하면 안됩니다. 

 

아무 확신없이 "오를 것 같다"는 감 만으로는 절대 주식을 매수하시면 안됩니다.

 

 

 

 

ROE 10이하의 기업에 프리미엄을 주려면, "분명한 이유"가 있어야한다.

- 차트, 공시, 시장의 관심등 명확한 트리거가 필요하다.

 

 

=> ROE가 15%이상 

=> ROE가 -에서 +로 턴어라운드

=> 시장 컨센(예상치) 대비 대폭 상승할것같은 기업을 찾아 공부 

 

 

--------------------------------------------------------------------------------------------------------

 

 

내 부의 크기 = 나로부터 가치를 받는 사람의 수 * 내 가치의 크기 

 

기업의 시가총액 = 기업으로부터 가치를 받은 사람의 수 * 기업 가치의 크기 

주식시장에서는 주가에 "선"반영이 된다.

 

 

최대한 빠르게 1억을 만드세요! 

복리의 힘은 1억부터 시작된다.

 

---------------------------------------------------------------------------------------------------------------

 

 

왜 ROE가 좋은 기업들 중 PBR이 낮은 종목들이 있을까 ?

 

- ROE, PBR은 회사를 평가하는 지표일 뿐, 참고 용도로 사용 

- 좋은 기업과 주식시장 안에서의 좋은 주식은 다르다. 

 

 

기업을 볼 때는 항상 미래를 보아야한다. 

기업의 "미래" ROE가 좋아질까? 유지될까 ?

 

 

 

적정PBR = ( 1 + ROE ) ^ n 

n = ROE의 지속가능 년수 

 

 

한 기업이 앞으로 20%의 ROE가 4년동안 지속가능할것같은지 ? 

(1+0.2) ^4 = 2.07

적정 PBR = 2.07

 

반대로 PBR 2정도 되는 기업은 ? 

이 회사가 20%의 ROE를 앞으로  4년은 유지할수있을것이라고 판단하는구나...라고 생각할수있음 

 

 

현재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PBR이 적정PBR보다 낮으면 매수를 고려해 볼 가치가 있다.

핵심은 " 앞으로의 ROE를 얼마나 내다볼수 있는가?" 

 

-----------------------------------------------------------------------------------------------------------------

숙제 : 적정PBR 계산해보기 

 

공식을 사용해 기업 하나의 적정가 구해보기 

미래 ROE에 대한 힌트는 기사나 리포트 등에 숫자로 나와있음, 그리고 년도로 나와있음

 

적정PBR을 계산해보오 , 현 주가로 그 기업을 매수할지, 매수하지 않을지까지도 생각해보기 

 

-----------------------------------------------------------------------------------------------

 

 

천천히, 차분히 배운 내용을 여러분만의 언어로 정리해보세요

남이 시켜서하는 공부가아니라, 스스로 이해하고 체득하는 과정이 되어야합니다.

그렇게 쌓인 지식과 경험은 어느 순간 여러분의 무기가 되어 돌아올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