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

주식공부_9일차_PBR과 2차적사고

개발자 덕구🐾 2025. 3. 19. 22:52
728x90

 

 

 

조급한 사람은 절대 투자시장에서 성공할 수 없다.

 

항상 "지금 시장의 위치는 어디쯤에 있을까?"에 대한 생각을 해야한다.

- 대중들이 환호하는 구간? 대중들이 힘들어하는 구간?

+ 수급은 어느 섹터로 쏠리고 있는가? 

+ 내가 관심있게 보고 있는 기업이 "ROE"도 좋고, 시장의 관심도 충분히 받고 있나?

 

 

투자에 대한 생각 - 하워드 막스 

제일 좋아하는 주식 서적 중 하나라고 함

 

2차적 사고 - 남들과 "다른" 생각을 할줄알아야한다!

 

주식시장은 희한하게도 대중들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가 참 많다.

시장에 부정적인 뉴스가 나올 때 매수하면 오히려 수익이 나고,

모두가 하하호호 하는 호황인 뉴스가 나올 때 매수하면 오히려 손실이 난다.

 

"공포에 매수하라"

기업을 볼 때 습관적으로 들여다보세요.

이 기업 ROE, PBR이 몇인데 ? 

 

 

핵심키워드 : 

단독, 최초, 미국, 삼성, 윤석열(현정부), 해외진출, 중국, 매출상승기대, 서프라이즈

 

턴어라운드&성장, 기술&시장 변화, 비용&효율성 , 확장 & 독점 

 

-------------------------------------------------------------------------

 

 

 

적정한 PBR을 선별해내는 과정도 중요하지만, 너무 낮은 PBR에 집착할 필요는 없다. 

 

1. 시계열을 길게 가지기

2. 분할매수, 분산투자 꼭하기

3. 단기간에 수익내고 싶은 욕심 절제 

 

 

 

시가총액 

 

1. 시가총액은 주식 시장내에서 기업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

2. 시가총액이 적은 기업은, 적은 금액으로도 주가를 쉽게 움직일수있다.

3. 따라서 주가보다는 시가총액을 보는 연습하기

4. 시총이 작은 종목들에서는 매집의 흔적을 찾기 쉽다. 

 

 

 

생각보다 시장의 주도 섹터는 쉽게 바뀌지않는다.

조선 - LNG 수혜 기업 

바이오 -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보로노이, SK바이오팜 등..

 

 

------------------------------------------------------------------------------

 

 

1. 대중에 속해 있으면 마음은 편하다. 

주식을 하면서 마음이 너무 편하다면 본인의 사고를 점검해보아야한다. 

본인의 종목과 조금은 불편한 관계에 있어야한다.

2. 모두가 최고의 선택이라호 믿는 투자는 필패다.

3. 모두가 곡소리낼 때가 최고의 투자기회다.

4. 시장은 추세를 따라간다고 해도, 기업의 내재가치는 절대 무시할수없다.(ROE)

 

 

---------------------------------------------------------------------------

 

"자본"에 프리미엄을 얹는 행위  => PBR 

"순이익"에 프리미엄을 얹는 행위 => PER 

 

자본 *  자본프리미엄(PBR) = 시가총액

순이익 * 순이익프리미엄(PER) = 시가총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