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계발

주식공부_8일차_PBR은 뭘까?

개발자 덕구🐾 2025. 3. 16. 23:06
728x90

 

 

기업의 ROE가 나의 수익률은 아니다. 

 

"수익률의 함정"에 빠지면 안된다. 

포트폴리오를 봤을 때 중요한것은 "비중"입니다.

 

비중을 싣는다는 것은 그만큼 집중한 종목이라는 것이고, 확신이 있다는 것이다.

 

ROE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넘어가는 턴어라운드 구간을 찾는것

시장은 ROE가 꺽일것같은 순간 그 종목을 버려버린다. 

 

ROE는 "적어도 손해는 크게 나지 않을" 지표이다.

 

ROE를 볼 때 무엇과 같이 봐야할까?

그것은 바로 "PBR" 

 

-------------------------------------------------------------------------------------------------------------

 

 

PBR은 자본 대비 시가총액입니다. = 시가총액  / 자본총계 

주가 * 발행주식수 = 시가총액 

 

 

ex) 

A회사가 50억의 자본을 갖고있을 때

A라는 종목의 시가총액이 100억이다. 

 

A의 "자본"에 2배의 프리미엄을 붙여 가치를 쳤군요?

 

그러면 이 기업의 PBR은 2입니다. 

즉, PBR은 회사가치를 시장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 한눈에 볼수있는 지표가 된다.

 

PBR이 1 미만이면 => 회사의 자본보다 주가가 저평가 되었다.

PBR이 1 이상이면 => 주식시장이 그 회사에 프리미엄을 주고 있다. 

 

-----------------------------------------------------------------------------------------------------------------

 

PER : 기업의 "'순이익"에 대한 평가 기준

PBR : 기업의 "자본"에 대한 평가 기준 

 

자본과 순이익중에 더 변동성이 큰 지표는 ?    ->  순이익 

 

즉 PER보다는 PBR이 변동성이 더 적기에 이를 이용해 "안정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수있다.

 

자본을 기준으로 하고 변동성이 작은 지표인 PBR은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

 

버틀러 사이트 잘 보세요

반응형